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최재천의 곤충사회

최재천의 곤충사회 - 최재천

와이프가 한동안 자주 보던 유튜브 채널 중에 최재천의 아마존이라는 채널이 있었다. 지금도 보고 있는지는 모르겠다. 유튜브 계정을 같이 사용하는데 추천 영상에 없는 것을 보니 요새는 잘 안보는 것 같다. 여튼 이 책을 고른 이유는 90%가 와이프의 유튜브 채널이고 10%는 밴쿠버 도서관에 있는 귀한 한국 책이라는 것이었다. 밴쿠버에서 한국 책은 중앙 도서관에서만 서식하는 천연 기념물 같은 존재랄까....

결국 책 자체의 대한 사전지식 없이 작가 때문에 빌릴 책이었다. 그래서 생각과는 다른 내용이 펼쳐졌다. 이 책의 제목이 무엇인가! [최재천의 곤충사회]다. 제목만 보자면 김전일이나 코난이 아니더라도 최재천이라는 분이 설명해주는 곤충 사회에 대한 이야기라고 추측이 가능하다. (다행이 할아버지의 이름을 걸지는 않았다.) 하지만 이 착은 곤충사회에 대한 과학적 탐구라기 보다는 최재천의 자서전, 아니 최재천의 회고록(Memoir)이다. 

책을 읽을 수록 곤충사회보다 최재천에 대해 더욱 관심이 생겼다. 고등학교에서 문과반, 이과반으로 나눌 때 이과반이 하나 더 생겨서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이과반으로 가게 되고, 대학교에서 적응하지 못해 유학을 결정하고 다시 서울대 교수로 돌아오는 여정을 재미있게 서술했지만 그 뒤에 숨겨진 피나는 노력이 느껴졌다.

이 책에서는 마지막으로 인류의 존속에 대해 이야기한다. 기후 변화에 우리가 피부로 느끼고 여려 매체에서도 많아 듣는 문제지만 저자는 생물 다양성이 없어져 가는 문제를 심각하게 이야기한다. 우리가 사람남기 위해서는 호모 사피엔스가 아니라 다른 생명체들과 이 지구를 공유하겠다는 호모 심비우스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연보호, 즉 자연과 공존해야 한다고 우리를 설득하고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구매하러 가기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And then there were none) - 아가사 크리스티 (Agatha Christie)

And then there were none - Agatha Christie Ten Little Soldier Boys Ten little soldier boys went out to dine; One choked his little self, and then there were nine. Nine little soldier boys sat up very late; One overslept himself, and then there were eight. Eight little soldier boys traveling in Devon; One said he’d stay there, and then there were seven. Seven little soldier boys chopping up sticks; One chopped himself in halves, and then there were six. Six little soldier boys playing with a hive; A bumblebee stung one, and then there were five. Five little soldier boys going in for law; One got in chancery, and then there were four. Four little soldier boys going out to sea; A red herring swallowed one, and then there were three. Three little soldier boys walking in the zoo; A big bear hugged one, and then there were two. Two little soldier boys sitting in the sun; One got frizzled up, and then there was one. One little soldier boy left all alone; He went and hanged himself, and th...

상실의 시대 - 무라카미 하루

상실의 시대 - 무라카미 하루키   그 언젠가 읽었는지조차 기억나지 않는 책. 마치 처음 접하는 소설처럼 빠져들어 읽었다. 처음 읽었을 땐 내가 너무 어렸거나, 그냥 흘려 읽었거나. 기억나는 건 ‘와타나베’라는 이름 정도. 그때는 이 소설이 말하고자 하는 것들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을 것이다. 아니, 애초에 이해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을지도.   이번에 다시 읽으며 느낀 건, 상실의 시대는 단순한 성장 소설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 책은 어딘가 결핍된 사람들의 이야기다. 와타나베는 나오코를 사랑하면서도 그녀에게 완전히 다가갈 수 없고, 미도리는 가족의 부재 속에서도 씩씩한 척하지만 마음 한구석이 늘 허전하다. 나가사와는 모든 걸 가졌지만 결국 공허함을 피할 수 없고, 레이코는 과거에 묶여 있다. 이들은 저마다의 방식으로 무언가를 잃고, 상실을 안고 살아간다. 하지만 결국, 상실 없는 사람이 어디 있을까.   하루키는 감정을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대신 공간과 사물, 그리고 공허한 순간들 속에서 감정을 보여준다. 나오코와 와타나베가 숲 속을 거닐던 장면, 미도리가 병실에서 와타나베에게 갑자기 전화를 걸어 "내 옆에 있어줘" 라고 했던 장면, 레이코가 기타를 치며 마지막 밤을 보내던 장면. 그 어떤 긴 대사보다, 그 순간들이 더 많은 걸 말해준다.   이번에 다시 읽고 나서야 이 소설이 제대로 와닿는 건, 그사이 내가 잃어버린 것들이 많아졌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예전에는 그저 흘려보냈던 문장들이 이제는 하나하나 마음에 남는다. 젊음과 사랑, 그리고 상실이란 결국 동전의 양면처럼 붙어 있는 것이 아닐까. P.S. 그래도 비틀즈의 Norwegian Wood는 여전히 내 취향은 아니네 ㅎ

카산드라의 거울 - 베르나르 베르베르

카산드라의 거울 - 베르나르 베르베르 [웃음] 이후에 오랜만에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을 읽었다. 그의 작품을 접할 때마다 느끼는 것은,  “이번엔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까?”라는 호기심과 함께, 그가 다루는 주제가 항상 방대하고 심오하다는 점이었다. 이번 [카산드라의 거울]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번 소설의 주제는 ‘미래’ . 미래를 보는 능력을 가진 소녀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지며, 그를 통해 인류의 미래를 고민하게 만드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하지만 이번 작품에서는 이런 거대함이 다소 과장되었다는 느낌이 들었다. 베르베르의 초기 작품인 [아버지들의 아버지] , [천사들의 제국] , [타나토노트] 를 읽을 때는 이 거대함 속에서도 빨려들어갈 듯한 흡입력이 있었다. 이야기가 조금 황당해도 재미있었고, 그의 상상력을 따라가는 즐거움들이 있었다. 그런데 이번 [카산드라의 거울] 에서는 그 거대함이 오히려 동떨어진 느낌으로 다가왔다. [카산드라의 거울] 은 분명 베르베르다운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방대한 상상력, 철학적 메시지, 그리고 한 발짝 떨어져 인류를 돌아보게 만드는 시선까지, 그만의 스타일이 여전히 나타난다. 하지만 그의 작품에 너무 익숙해 졌는지 조금 식상하게 느껴졌다.  이제는 그를 놓아주어야 할 때인 듯 하다.